우리는 가설 검증을 위해 MVP를 개발하고 있다.
이번 시간에는 서비스 기획을 바탕으로 백로그를 작성하고, 우선순위와 예상 소요 시간을 계산해 보겠다.
어떤 기능을 만들어야 하지?
지난 시간에 정했던 세부 기능들은 다음과 같다.
- 로그인/회원가입
- 네이버 소셜 로그인
- 투표 기능을 포함한 고민 작성
- 제목과 본문
- 익명 기능
- 두 개의 선택지를 필수적으로 작성할 것
- 레벨 시스템 및 랭킹 페이지
- solomon power
- 자신과 상위 5명
- 오늘의 첫 답변 보너스
- 가벼운 답변 +5, 신중한 답변 +30
- 오늘의 첫 신중한 답변 +60
- 마이페이지
- 중복 불가능한 닉네임 설정
- 내가 작성한 고민
- 피드백 기능
- 텍스트 형식의 요청사항 작성
이를 기반으로 백로그를 작성해 보겠다.
백로그 작성하기
백로그를 작성하고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잘 모르기도 하고 이번 프로젝트에 있어선 과해 보여서 간단하게 작성하기로 했다.
백로그 작성은 처음이기 때문에, 그냥 하고 싶은 대로 하고 나중에 회고를 하면서 피드백을 하려고 한다.
백로그는 다음의 방식으로 작성하려고 한다.
- 사용자가 우리 서비스를 통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사용자 스토리) 작성
- 사용자 스토리를 위해 필요한 기능 (= Task) 작성
- 사용자 스토리 완료 기준 작성
그럼 지금부터 사용자 스토리를 작성해 보자.
- 사용자는 로그인을 할 수 있다.
- 사용자는 투표를 포함한 고민을 작성할 수 있다.
- 사용자는 고민 글을 확인할 수 있다.
- 사용자는 고민 글에 투표를 할 수 있다.
- 사용자는 고민 글에 답변을 달 수 있다.
- 사용자는 작성한 고민 글을 수정할 수 있다.
- 사용자는 작성한 고민 글을 삭제할 수 있다.
- 사용자는 랭킹을 확인할 수 있다.
- 사용자는 오늘의 첫 답변 게이지를 확인할 수 있다.
- 사용자는 자신의 프로필을 볼 수 있다.
- 사용자는 자기가 작성한 고민 글을 볼 수 있다.
- 사용자는 자신의 닉네임을 수정할 수 있다.
- 사용자는 피드백을 남길 수 있다.
노션을 사용하고 있어서, 사용자 스토리를 노션으로 옮기고 우선순위를 매겼다.
우선순위의 경우 MoSCoW 방법을 택해, Must, Should, Could, Won't를 기준으로 매겼다.
Task는 개발자의 입장에서 작성하는 것처럼 보이는데, 어떤 식으로 나눠야 할지 몰라서 추상적으로 작성했다.
일단 이렇게 Task를 작성하고, 나중에 회고를 통해 피드백을 진행하려고 한다.
혼자 개발을 하기 때문에, 프로젝트 진행에는 문제가 없어 보인다.
이제 예상 소요 시간을 계산해야 하는데, 난 마감기간을 정해놓고 프로젝트를 한 적이 거의 없고 시간을 계산하면서 개발한 경험이 없어 어떻게 산출해야 할지 모르겠다.
그래서 뇌피셜로 작성을 해놓고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나의 개발 능률을 확인해보려고 한다.
총 46시간이 걸린다고 예측했으니, 하루에 4.6시간씩 열흘이면 완료할 수 있을 것 같다.
앞으로 개발을 하면서 공유할만한 코드가 있으면 따로 포스트를 작성해도 좋을 것 같다.
다음 시간에는 기술 스택을 결정해보려고 한다.
의견이나 피드백은 댓글 남겨주세요!
'사이드 프로젝트 > solomon 고민 플랫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드 프로젝트] solomon 고민 플랫폼 - 기술 스택 결정 (16) (0) | 2022.12.22 |
---|---|
[사이드 프로젝트] solomon 고민 플랫폼 - 어떻게 개발할까? (14) (0) | 2022.12.22 |
[사이드 프로젝트] solomon 고민 플랫폼 - 디자인 (13) (0) | 2022.12.22 |
[사이드 프로젝트] solomon 고민 플랫폼 - IA 및 와이어프레임 (12) (0) | 2022.12.21 |
[사이드 프로젝트] solomon 고민 플랫폼 - MVP 서비스 기획 : 세부사항 (11) (0) | 2022.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