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현재까지 가설검증을 위해 MVP를 개발하고자, 필요한 기능들을 기획했다.
이번에는 IA와 와이어프레임을 작성한 과정을 공유해보고자 한다.
시작하기전에 이 말을 하고 싶다.
문서는 기록과 공유를 위함이다. 정답은 없다.
나는 회사에서 일해본 경험도 없고 교육도 받아본 적이 없으며, 스스로 독학을 했기에 부족하거나 다른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우리가 하고 있는 일은 좋은 서비스를 만드는 일이지, 보기 좋은 문서를 만드는 일이 아니라고 생각하기에 잘못된 부분은 너그럽게 이해해줬으면 한다.
의견이나 피드백은 댓글 남겨주세요. - 멍태현 -
IA (Information Architecture)
나는 IA를 미니맵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서비스의 구조를 간단하게 요약할 수 있게 작성했다.
저번시간에 작성한 구체적인 세부사항에 기반해 작성했기에, 별다른 설명없이 지나가겠다.
와이어프레임
이번 프로젝트는, 모바일 우선 디자인(Mobile-First-Design)으로 개발하려고 한다.
Mobile Wireframe
Desktop Wireframe
소셜 로그인은 모달 형식으로 개발할 예정이다.
만약 로그인 없이, 투표를 하려고 한다면 모달을 띄워 로그인을 유도할 생각이다.
고민 글의 상세 페이지 같은 경우에도 모달 형식으로 제작해서, 집중할 수 있도록 만들예정이다.
UX에 많은 신경을 쓰기보단, 기존 레퍼런스를 참고했다.
정렬이 안맞거나, 어색한 부분이 있는데, 이후 디자인 작업을 해주면서 수정할 예정이다.
'사이드 프로젝트 > solomon 고민 플랫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드 프로젝트] solomon 고민 플랫폼 - 어떻게 개발할까? (14) (0) | 2022.12.22 |
---|---|
[사이드 프로젝트] solomon 고민 플랫폼 - 디자인 (13) (0) | 2022.12.22 |
[사이드 프로젝트] solomon 고민 플랫폼 - MVP 서비스 기획 : 세부사항 (11) (0) | 2022.12.20 |
[사이드 프로젝트] solomon 고민 플랫폼 - MVP 서비스 기획 (10) (0) | 2022.12.19 |
[사이드 프로젝트] solomon 고민 플랫폼 - MVP 개발 계획 (9) (0) | 2022.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