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전체 글

    [사이드 프로젝트] solomon 고민 플랫폼 - 가설 검증 : 통계자료 (5)

    통계자료로 무엇을 알고 싶은가? 사실, 통계자료는 사업 가설의 타당성을 거의 부여하지 못할 것 같다는 게 내 생각이다. 그래도, 들어가는 리소스가 적다는 점과 산업 배경지식을 학습하기 위해서 통계자료 조사를 실시했다. 통계자료를 통해 가설을 검증한다는 의미보다, 산업 이해와 가벼운 시장조사를 목적으로 진행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현재, 우리가 검증할 가설은 다음 세 가지이다. 사람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한 달에 한 번 고민 글을 작성할 것이다. 현명하다고 인정받기 위해, 기꺼이 다른 사람의 고민에 매일 한 개의 답변을 할 것이다. 현명하다고 인정받는 사람의 답변을 더 신뢰하여, 작성하는 고민 글 수가 증가할 것이다. 이 중에서, 1번 가설의 뒷받침할 통계자료를 찾을 수 있었다. 사람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

    [사이드 프로젝트] solomon 고민 플랫폼 - 가설 검증 계획 (4)

    앞으로 검증해야 할 가설 검증해야 할 가설은 다음과 같다. 사람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한 달에 한 번 고민 글을 작성할 것이다. 현명하다고 인정받기 위해, 기꺼이 다른 사람의 고민에 매일 한 개의 답변을 할 것이다. 현명하다고 인정받는 사람의 답변을 더 신뢰하여, 작성하는 고민 글 수가 증가할 것이다. 어떻게 검증할까? 아직 구체적인 제품을 기획하진 않았지만, 플랫폼 형식의 IT 서비스 형태의 제품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 점을 고려해 검증 계획을 세워보고자 한다. 검증 도구 선택 기준의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돈이 안들어가거나, 최대한 적게 드는 것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가 많은 것 고객의 의견보단, 돈에 가까운 것 (대학생이라 지갑사정 때문에 돈을 1순위로 정했다.) 위 기준으로 검증 도구를 결정해봤..

    [사이드 프로젝트] solomon 고민 플랫폼 - 가설 세우기 (3)

    서비스를 돌아가게 하는 전제 조건은 무엇인가? 내가 생각한 중요 사업 가설은 다음과 같다. 사람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고민을 작성할 것이다. 현명하다고 인정받기 위해, 기꺼이 다른 사람의 고민에 시간과 노력을 들여 답변할 것이다. 현명하다고 인정받는 사람의 답변을 더 신뢰하여, 내 서비스를 애용할 것이다. 1,2,3이 선순환을 일으켜 고민 커뮤니티 생태계를 만들어 낼 것이다. 정량적 수치로 표현하기 결정을 할 때 '데이터를 근거로'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고객 가설은 사업을 시작할지 안 할지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하고, 유일한 근거가 된다. 즉, 고객 가설도 '데이터화' 되야한다. 이를 위해 가설을 정량적 표현으로 구체화했다. 사람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한 달에 한 번 고민 글을 작성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