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사이드 프로젝트] solomon 고민 플랫폼 - MVP 서비스 기획 (10)](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VrUsK%2FbtrTUE21bvY%2FRykC8B0iGd6sRUUyyLQzjk%2Fimg.png)
[사이드 프로젝트] solomon 고민 플랫폼 - MVP 서비스 기획 (10)
MVP를 개발해서, 가설을 검증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시간에는 MVP에서 제공할 기능을 기획하고자 한다. 검증해야 할 가설들 우리의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핵심 가설은 다음과 같았다. 사람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한 달에 한 번 고민 글을 작성할 것이다. 현명하다고 인정받기 위해, 기꺼이 다른 사람의 고민에 매일 한 개의 답변을 할 것이다. 현명하다고 인정받는 사람의 답변을 더 신뢰하여, 작성하는 고민 글 수가 증가할 것이다. 이를 검토해본 결과, 세부적으로 확인해야 할 의문점은 다음과 같았다. '고민잘알'로 인정받는 것이 고객에게 얼마만큼의 가치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과연 현명한 사람에게 고민을 상담받고 싶은 것인지 확인해야 한다. 어떤 기능을 만들어야 이에 맞는 데이터를 얻어낼 수 있을까? 어떤 기..
[사이드 프로젝트] solomon 고민 플랫폼 - MVP 개발 계획 (9)
현재까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들을 사용했지만, 만족스러운 데이터를 얻지 못했다. MVP를 만들어서 가설을 확실하게 검증해보고자 한다. 검증해야 할 가설들 현재, 검증해야 할 가설들은 다음과 같다. '고민잘알'로 인정받는 것이 고객에게 얼마만큼의 가치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과연 현명한 사람에게 고민을 상담받고 싶은 것인지 확인해야 한다. 무엇을 만들 것인가? WEB vs. App MVP의 형태는 다양하고, 이는 서비스의 컨셉과 MVP 개발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 이들을 고려했을 때, WEB 혹은 APP의 형태로 개발하는 것이 좋아 보인다. 고민 끝에 둘 중, WEB을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App 보다는 WEB 개발에 익숙하다. 상대적으로 비용이 저렴해 보인다. (스..
![[사이드 프로젝트] solomon 고민 플랫폼 - 시장 조사 : 경쟁사 분석 (8)](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o7kmQ%2FbtrTMfRlzAd%2FKTRK5NQoeI4DG0ikoj1k7k%2Fimg.jpg)
[사이드 프로젝트] solomon 고민 플랫폼 - 시장 조사 : 경쟁사 분석 (8)
왜 solomon을 써야 하죠? 22년 12월 현재, 시장에는 이미 많은 고민 커뮤니티가 존재하고, 상담 서비스도 다수 존재한다. 그럼 이미 존재하는 서비스를 놔두고 solomon을 써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번 시간에는 그에 대한 해답을 찾아볼 것이다. 포지셔닝 전략 우리의 서비스는 '고민 상담 플랫폼'이다. 그래서, '고민을 메인 서비스로 제공하는가?'를 기준으로 경쟁사로 구분했다. 경쟁사 주요 기능 나쁜 기억 지우개 고민 게시판 : 24시간 후 자동 삭제 1대 1 고민 대화 고민 라디오 트로스트 전문가와 심리 상담 마인드 카페 전문가와 심리 상당 커뮤니티 기능 hi, there 전문가와 심리 및 고민 상담 현재 시장의 고민 서비스의 경우, 대다수가 전문가를 통한 치료나 치유의 느낌이 강하다. s..
[사이드 프로젝트] solomon 고민 플랫폼 - 가설 검증 : 통계자료 (5)
통계자료로 무엇을 알고 싶은가? 사실, 통계자료는 사업 가설의 타당성을 거의 부여하지 못할 것 같다는 게 내 생각이다. 그래도, 들어가는 리소스가 적다는 점과 산업 배경지식을 학습하기 위해서 통계자료 조사를 실시했다. 통계자료를 통해 가설을 검증한다는 의미보다, 산업 이해와 가벼운 시장조사를 목적으로 진행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현재, 우리가 검증할 가설은 다음 세 가지이다. 사람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한 달에 한 번 고민 글을 작성할 것이다. 현명하다고 인정받기 위해, 기꺼이 다른 사람의 고민에 매일 한 개의 답변을 할 것이다. 현명하다고 인정받는 사람의 답변을 더 신뢰하여, 작성하는 고민 글 수가 증가할 것이다. 이 중에서, 1번 가설의 뒷받침할 통계자료를 찾을 수 있었다. 사람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
[사이드 프로젝트] solomon 고민 플랫폼 - 가설 검증 계획 (4)
앞으로 검증해야 할 가설 검증해야 할 가설은 다음과 같다. 사람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한 달에 한 번 고민 글을 작성할 것이다. 현명하다고 인정받기 위해, 기꺼이 다른 사람의 고민에 매일 한 개의 답변을 할 것이다. 현명하다고 인정받는 사람의 답변을 더 신뢰하여, 작성하는 고민 글 수가 증가할 것이다. 어떻게 검증할까? 아직 구체적인 제품을 기획하진 않았지만, 플랫폼 형식의 IT 서비스 형태의 제품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 점을 고려해 검증 계획을 세워보고자 한다. 검증 도구 선택 기준의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돈이 안들어가거나, 최대한 적게 드는 것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가 많은 것 고객의 의견보단, 돈에 가까운 것 (대학생이라 지갑사정 때문에 돈을 1순위로 정했다.) 위 기준으로 검증 도구를 결정해봤..
[사이드 프로젝트] solomon 고민 플랫폼 - 가설 세우기 (3)
서비스를 돌아가게 하는 전제 조건은 무엇인가? 내가 생각한 중요 사업 가설은 다음과 같다. 사람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고민을 작성할 것이다. 현명하다고 인정받기 위해, 기꺼이 다른 사람의 고민에 시간과 노력을 들여 답변할 것이다. 현명하다고 인정받는 사람의 답변을 더 신뢰하여, 내 서비스를 애용할 것이다. 1,2,3이 선순환을 일으켜 고민 커뮤니티 생태계를 만들어 낼 것이다. 정량적 수치로 표현하기 결정을 할 때 '데이터를 근거로'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고객 가설은 사업을 시작할지 안 할지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하고, 유일한 근거가 된다. 즉, 고객 가설도 '데이터화' 되야한다. 이를 위해 가설을 정량적 표현으로 구체화했다. 사람들은 온라인 커뮤니티에 한 달에 한 번 고민 글을 작성할 ..
[사이드 프로젝트] solomon 고민 플랫폼 - 문제 발견 (2)
왜 고민 플랫폼을 만들어? 고민이 없는 사람이 세상에 존재할까? 누구나 사소한 고민부터, 인생이 걸린 고민까지 다양한 고민들로부터 해방되고 싶어 한다. 나는 생각이 정말 많은 사람이라서 고민이 정말 많고 이 때문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 보통 주변 사람들에게 내 고민을 털어놓곤 하는데, 주변 사람들에겐 미안하지만 사실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 이럴 때마다 '정말 지혜로운 사람이 내 고민의 답을 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한다. 이런 생각을 해서 일까, 다른 사람의 고민을 들어주고 해결책을 제시해주는 걸 좋아한다. '덕분에 고민이 해소됐어'라는 말을 듣게 되는 날은 흐뭇해진다. 반대로, 내 말대로 하지 않았다는 얘기를 들으면 짜증이 날 때도 있다. 주변 사람에게 이런 경험들을 얘기한 적이 있었는데, 다들 ..
[사이드 프로젝트] solomon 고민 플랫폼 - 시작 (0)
스타트업에 꿈을 품게 된 이후로 9개월이란 시간이 지났다. 그동안 기획과 개발에 대한 공부를 많이 했는데, 뒷심이 부족한 성격 탓일까 제대로 된 프러덕트를 론칭한 경험은 전무하다.... 난 항상 프로젝트가 이렇게 진행되고 끝난다. 기발한 아이디어가 떠오른다. 신나게 개발한다. '근데 이걸 사람들이 쓸까?'라는 생각이 든다. 중도 포기한다. 그래서 이번에는 끝까지 마칠 수 있도록, 프로젝트 개발과 활성화하는 과정을 블로깅하면서 진행해보려고 한다. 이번 사이드 프로젝트로 이루고 싶은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다. 수익 내기 서비스 활성화하는 과정 경험해보기 개발 인프라 공부하기 그리고, 다음의 규칙을 세웠고 최대한 지키고자 한다. 스타트업을 하는 방식으로 한다. 최소 주 3회 진행한다. 핵심 목표는 다음과 같다...